AWS Summit 이벤트를 통해 시험 응시료 20% 할인받아서 자격증을 도전하게 되었습니다.
시험은 7/6(토) 앤아버어학원 여의도 문래센터에서 진행하였습니다.
시험장은 3층이며 시험시간보다 일찍 도착했지만 바로 시험을 볼 수 있었습니다.
약 1시간 정도 시험본 후 결과를 확인해보니 완전 턱걸이로 합격했네요..
1. 시험특징
AWS 클라우드 서비스 정의와 특징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필요합니다.
즉 클라우드 전문가 관점에서 요구사항에 따른 적절한 AWS 서비스 제시할 수 있는 이해도를 평가하는 시험입니다.
제가 느낀 점은 생각보다 실무 경험과 동떨어진 서비스에 대한 문제 유형이 많았습니다.
따라서 경험하지 못한 서비스는 덤프 문제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험 범위와 비중은 아래와 같습니다.
1.1) 클라우드 개념(채점 대상 콘텐츠의 24%)
- AWS 클라우드 가치 제안
- AWS 클라우드의 설계 원칙 - Well-Architected 프레임워크 6가지 ⭐️
https://aws.amazon.com/ko/architecture/well-architected - AWS Cloud Adoption Framework(CAF) 6가지 관점 ⭐️
https://aws.amazon.com/ko/cloud-adoption-framework/ - 클라우드 경제성의 개념 이해
1.2) 보안 및 규정 준수(채점 대상 콘텐츠의 30%)
- AWS 책임 분담 모델 구성 요소 ⭐️
https://aws.amazon.com/ko/compliance/shared-responsibility-model - AWS 클라우드의 보안 및 규정 준수
- 액세스 관리 기능 식별
1.3) 클라우드 기술 및 서비스(채점 대상 콘텐츠의 34%)
- 클라우드에서 배포 및 운영 방법 정의
- 다양한 AWS 서비스 범주 파악 ⭐️
- 인공 지능 및 기계 학습(AI/ML), EventBridge, Amazon SNS, Amazon SQS 등
1.4) 결제, 요금 및 지원(채점 대상 콘텐츠의 12%)
- 요금 모델 비교
- 결제, 예산 및 비용 관리를 위한 리소스 이해
- AWS Support 옵션 ⭐️
https://aws.amazon.com/ko/premiumsupport/plans/
별표로 기재된 항목은 시험에 무조건 나오지만 개념이 너무 어렵습니다..
더 상세한 내용은 아래의 AWS 가이드 문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AWS-Certified-Cloud-Practitioner_Exam-Guide
2. 준비방법
시험준비는 20시간 정도 할애하였습니다.
2.1) Udemy 스테판마렉 - 강의 10시간
- 굳이 유료강의까지 들을 필요 없이 한국어 기술 백서 완독하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 주요 서비스 항목 강의
- 다양한 AWS 서비스 범주의 서비스 - 덤프 문제로..
- 모의고사 풀이
2.2) 덤프문제 풀이 - 10시간
- 오답노트 정리
- 모르는 AWS 서비스 용어 정리
- 다양한 AWS 서비스 범주 익숙해져야 함
2.3) 덤프 문제 예시 - 까다로운 유형
다음 중 AWS 클라우드의 운영 우수성을 보여주는 사례는 무엇입니까? (2개 선택)
- AWS 환경에서 월별 게임 데이를 수행합니다. ⭐️
- AWS CodeDeploy를 사용하여 프로덕션 서버에 소규모 증분 변경 사항을 배포합니다. ⭐️
- EC2 지표 소비를 모니터링하고 이에 따라 인스턴스 유형을 조정합니다. → 성능효율성
- 콘솔을 통해 수동으로 인프라를 시작합니다. → 성능효율성
- AWS Lambda와 같은 서버리스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합니다.
다음 중 클라우드 투자가 디지털 혁신 목표와 비즈니스 성과를 가속화하도록 특별히 맞춤화된 AWS Cloud
Adoption Framework(CAF) 관점은 무엇입니까?
- 비즈니스 관점 ⭐️
- 거버넌스 관점 → 조직의 이익을 극대화하고 혁신 관련 위험을 최소화
- 운영 관점 → 비즈니스 이해 관계자와 합의한 수준에서 클라우드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보장 (가용성)
- 인력 관점 → 조직이 지속적인 성장과 학습의 문화로 더 빠르게 진화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여정을 가속화
다음 중 AWS Enterprise support plan의 향상된 기술 지원 응답 시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무엇입니까? (2개 선택)
- 비즈니스에 중요한 시스템이 다운되는 경우 15분 응답 시간 지원 제공 ⭐️
- 일반 안내에 대한
12시간응답 시간 지원 제공 → 24시간 - 일반 안내에 대한
48시간응답 시간 지원 제공 - 프로덕션 시스템이 다운되는 경우 1시간 응답 시간 지원 제공 ⭐️
- 프로덕션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한 경우
2시간응답 시간 지원 제공 → 4시간
3. 참고사항
- AWS 공식 무료 교육
https://www.aws.training/Details/eLearning?id=6845 - AWS 한국어 기술 백서
https://aws.amazon.com/ko/blogs/korea/ko-whitepapers/ - 무료 덤프
https://github.com/kananinirav/AWS-Certified-Cloud-Practitioner-Notes/blob/master/practice-exam/exams.md
자격증을 준비하면서 회사에서 운영 중인 AWS 인프라를 다시 한번 점검하게 된 계기가 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 CloudFormation 정의
- IAM access analyzer를 통한 IAM 정책 검토
- Trusted Advisor 점검 등
AWS 자격증이 있으면 추가 시험 응시료가 50% 할인이 되므로 조만간 Associate 자격증을 도전해 볼 예정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