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20일 레디스가 7.4 버전부터 라이선스 정책을 변경하였습니다.

 

[AS-IS]BSD 라이선스

THIS SOFTWARE IS PROVIDED BY THE COPYRIGHT HOLDERS AND CONTRIBUTORS "AS IS"...

작권자와 기여자는 이 소프트웨어를 “있는 그대로의” 상태로 제공하며 소스 코드 공개를 의무로 두지 않고,

개작한 부분에 BSD를 적용할 필요가 없는 특징이 있습니다. (Permissive Lisence)

 

[TO-BE] 듀얼 라이선스 변경

1. Redis Source Available License (RSALv2)

소프트웨어 사용, 복사, 배포, 제공 및 파생에 대한 권리를 인정하지만,
사용자가 소프트웨어를 상업화하거나 다른 사람에게 관리형 서비스로 제공할 수 없다.

기존 버전의 Redis 오픈소스 프로젝트 BSD 라이선스를 따릅니다

다만 7.4 버전부터 Redis Labs의 프리미엄 제품에 RSALv2가 적용될 예정입니다.

즉, 새로운 버전에 대해서는 오픈소스 프로젝트가 아닌 셈을 인정하는 것입니다.

 

2. Server Side Public License (SSPLv1) 

MongoDB에서 처음 도입한 라이선스로 소스코드는 여전히 공개하지만,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가 서비스를 제공 시 개작한 서비스 코드를 공개해야 한다.

 

Redis사의 행보에서 시사하는 바는  Redis 이용자와 Redis 를 이용한 라이브러리들은 영향을 받지 않지만,

레디스 솔루션을 호스팅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가 레디스사와 별도 계약을 체결해야 하는 것을 뜻합니다.

 

 

한가지 재미있는 사실은..

‍Redis 사는 커뮤니티를 폐쇄할 수 있는 능력과 법적 권리를 가질 수 있지만 Redis를 만든 것은 아닙니다.

Redis는 이탈리아 개발자 Salvatore의 노고로 2009년에 출시되었으며,

2020년에 구 Garantia 사에서 레디스의 지적재산권 및 상표권을 인수했습니다.

 

AWS가 Elasticache를 구성하며 Redis 오픈소스에 기여한 부분(cluster/replica 관련된 부분 등)이 적지도 않고

인메모리(in-memory) 데이터베이스 시장 점유율을 높였다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합니다.

 

라이선스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대표적인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인 마이크로 소프트와 AWS에서

레디스 포크 프로젝트를 출시하였습니다.

 

  • 마이크로소프트-  가넷(Garnet) 
  • AWS - 발키(Valkey)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는 Elasticache REDIS 7.1 버전을 적용하여 라이선스 문제는 없습니다.

하지만 아래의 체크리스트를 참고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해보입니다.

기업이나 프로젝트에 레디스를 사용하는 경우 체크리스트 

  • 소스에 대한 전체 액세스 권한을 갖고 복제하고 수정할 수 있나? - 예
  • 개선을 위해 풀 리퀘스트를 할 수 있나? - 예
  • 상업용 프로젝트에서 레디스를 사용해 수익을 창출하는 경우에도 무료로 내려받아 사용할 수 있나? - 예
  • 스타트업에서 레디스를 기술로 사용하는 제품을 무료로 만들 수 있나? - 예
  • 기존처럼 git clone / make / make install' 할 수 있나? - 예
  • 유료 라이선스 없이 소스 코드를 가져와 클라우드기반 서비스형 레디스를 만든 후 재 판매할 수 있나? - 아니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레퍼런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